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왕눈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이 유사한 캐릭터들에 대한 내용은 왕눈이 문서
왕눈이번 문단을
왕눈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와의 스토리 연계성에 대한 서술은 평론가의 평 등의 근거가 제시되기 전까지 평가 문단에 서술하지 않는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와의 스토리 연계성에 대한 서술은 평론가의 평 등의 근거가 제시되기 전까지 평가 문단에 서술하지 않는다.

토론 - 본 문서 내에 가격과 본 작품의 평가를 연관짓는 서술을 금지한다.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파일:Royal_Crest_TP.webp젤다의 전설
메인 시리즈 일람
||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ゼルダの伝説 ティアーズ オブ ザ キングダム
The Legend of Zelda: Tears of the Kingdom
파일:티어스 오브 더 킹덤 한국.jpg
개발닌텐도 | 모노리스 소프트
유통닌텐도
플랫폼Nintendo Switch
ESD닌텐도 e숍
장르3인칭 오픈 에어 액션 어드벤처
플레이 인원수1명
발매일파일:세계 지도.svg 2023년 5월 12일
그래픽휴대 시 720p[1] / 거치 시 900p[2] / 30fps
한국어 지원자막 지원
심의 등급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 12세 이용가[3]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ACB Mature.svg ACB M
판매량1,950만 장 (2023. 9. 30. 기준)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일본 국기.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미국 국기.svg
상점 페이지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




1. 개요[편집]


날아라(Explore, 만들어라(Create, 이어가라(Discover


끝없는 모험의 무대가 하늘로 넓어진다.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속편이 등장

하늘에 떠 있는 섬들, 처음 보는 무기, 신기한 탈것...

도대체 하이랄에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가?

당신만의 끝없는 모험이 다시 시작됩니다….

공식 소개 문구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20번째 작품이자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시퀄. 디렉터는 후지바야시 히데마로, 프로듀서는 아오누마 에이지가 맡았다.


2. 발매 전 정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발매 전 정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트레일러[편집]






2023. 04. 13. 3rd 트레일러


3. 상세 정보[편집]






3.1. 등장인물[편집]


||
[ 펼치기 · 접기 ]

주역
하이랄의 공주
파일:zelda_triforce.png
하이랄의 용사
파일:botw_link.png
마왕
파일:AB2850D8-AF81-4F86-B10B-9619D7276F68.png
젤다링크가논돌프
현자
바람
파일:Rito_symbol.png
화염
파일:Symbole_Goron.png

파일:Symbole_Zora.png
번개
파일:Gerudo_Symbol.png
튤리윤돌시드루쥬
||

파일:조나우족.png
시간
파일:Royal_Crest_TP.png
영혼
파일:조나우족.png
라울소니아미넬
기타
골렘 · 프루아 · 임파 · 코가님

열람 시 스포일러 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 몬스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몬스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생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생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지역[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지역#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 파마의 사당[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파마의 사당#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지상[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지역/지상#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3. 하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지역/하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4. 지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지역/지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챌린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챌린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1. 모험의 기록[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모험의 기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아이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아이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1. 무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아이템/무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2. 방어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아이템/방어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3. 소재[편집]





3.4.4. 요리[편집]





3.4.5. 조나우 기어[편집]





3.5. 오브젝트[편집]





3.6. 조작법[편집]





3.6.1. 오른손[편집]





3.6.1.1. 스크래빌드[편집]




3.6.1.2. 울트라 핸드[편집]




3.7. 스피드런[편집]





3.8. [편집]





4.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와의 비교[편집]





빛 속성은 광휘의 열매나 별의 조각 등으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빛 속성은 타격이 있는 빛과 타격이 없는 순수 빛으로 나뉘는데, 별의 조각, 조명꽃 등으로 빛 속성을 사용하면 순수히 조명의 역할만 하는 빛이 발현되고, 광휘의 열매, 거울 등으로 빛 속성을 사용하면 몬스터가 빛을 바라볼 시 눈을 가리며 전기 속성처럼 무기를 놓치고 짧은 시간 무방비 상태가 된다. 빛 속성은 몬스터를 무방비로 만들거나, 기브도를 무력화시키거나, 초록색 스위치를 발동시킬 때 사용되며, 순수 빛 속성은 지저를 밝히거나 마찬가지로 기브도를 무력화 시키는 등으로 사용한다. 또한, 전기 속성의 색이 초록색에서 노란색으로 변경되었고 대미지가 12에서 4로 팍 낮아졌다. 전기 속성의 사실상 존재이유인 무기를 놓치는 것도 빛속성이 더 유용해졌고, 큰 대미지는 불 속성이 가져가서 속성의 쓸모가 없어졌다. 다만 선술했듯 물 속성과 조합하면 광역을 공격할 수 있다는 고유의 장점이 존재한다.


광석전작 판매가본작 판매가
호박30루피10루피
오팔60루피30루피
토파즈180루피80루피
루비210루피110루피
사파이어240루피150루피
유일하게 다이아몬드만은 500루피의 고가를 유지하고 있으나 여전히 구하기가 어렵고 영걸 무기 제작시 1개만 요구했던 전작과 달리 이번에는 3개를 요구한다. 또한 원래 광석을 드랍했던 실버 단계의 몬스터들이 더 이상 광석을 드랍하지 않는다. 실버 라이넬이 낮은 확률로 별의 조각을 드랍하던것도 삭제되었다.






























5. 평가[편집]





6. 흥행[편집]











7. 관련 상품[편집]



7.1. Collector's Edition[편집]


파일:왕눈Collector's Edition.jpg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Collector's Edition
구성품은 다음과 같다.

지역별로 한정판의 구성품이 달랐던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와는 달리 본작의 한정판은 Collector's Edition으로 전세계가 동일한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DL판을 선호하는 유저들을 위해 게임 소프트 포함 버전과 특전들만 따로 판매하는 게임 소프트 미포함 버전이 동시에 발매된다.

희망소비자가격은 소프트 포함 ₩139,800/¥14,520/$129.99, 소프트 미포함 ₩70,000/¥14,520이다.[30]

한정판의 내용물 구성에 대해선 뭔가 빈약한 것 같다는 의견이 많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의 한정판 구성이 혜자라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알찼던 것을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


7.2. amiibo[편집]


파일:왕눈링크아미보.png
파일:왕눈젤다아미보.jpg
파일:왕눈가논돌프아미보.jpg
링크(티어스 오브 더 킹덤)젤다(티어스 오브 더 킹덤)가논돌프(티어스 오브 더 킹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링크, 젤다, 가논돌프의 일러스트를 기반으로 한 amiibo도 함께 발매되었다. 젤다, 가논돌프 amiibo는 2023년 6월 21일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발표되었으며 동년 11월 3일 발매한다.

또한 본작은 모든 amiibo에 대응한다. 젤다의 전설 시리즈[31]의 amiibo를 터치하면 기존에 드랍되던 아이템과 더불어 해당 캐릭터가 등장한 게임에 어울리는 특별한 패러세일 원단[32]을 확률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아래의 예시는 그 일부이며, 젤다의 전설 시리즈 이외의 amiibo들은 모험에 도움이 되는 여러가지 소재와 무기 등을 드랍한다. 전작에서 등장한 울프 링크의 경우 소환 기능이 잘리면서 고기류 잡템과 함께 낮은 확률로 원단을 떨구는 사양으로 하향되었다.[33]
아미보보상
파일:왕눈링크아미보.png
티어스 오브 더 킹덤
링크
파일:왕눈아미보1.jpg
파일:amiibo-link-rider.png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링크(기마)
파일:왕눈아미보2.jpg
파일:Zelda_Loftwing_amiibo.jpg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 HD
젤다&로프트버드
파일:왕눈아미보3.jpg
파일:uvOzgaY0O76bBzQOv8DcVJ7k7evZ8VcO.png
젤다의 전설 30주년
링크 [무쥬라의 가면]
파일:왕눈아미보4.jpg


7.3. Nintendo Switch(OLED 모델)[편집]


파일:왕눈_스위치왕눈에디션.jpg
Nintendo Switch(OLED 모델)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에디션
2023년 4월 28일에 발매되었다. 한국에서는 '왕디션'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7.4. Nintendo Switch Pro 컨트롤러[편집]


파일:왕눈_프로콘왕눈에디션.jpg
Nintendo Switch Pro 컨트롤러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에디션
2023년 5월 12일에 본편과 함께 발매되었다. 본작의 테마를 잘 살린 디자인으로 호평을 받았던 것과는 별개로 초기 불량이 많아 말이 많이 나온 편. NFC 인식부는 트라이포스 문양으로 디자인이 되어서 원래 그 자리에 있던 Nintendo Switch 로고는 뒷부분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7.5. Nintendo Switch 휴대용 케이스[편집]


파일:왕눈_파우치.jpg
파일:왕눈_파우치2.jpg
Nintendo Switch 휴대용 케이스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에디션
2023년 5월 12일에 본편과 함께 발매되었다. 닌텐도가 통상적으로 판매하는 다른 휴대용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화면 보호 필름이 동봉되어 있고 내부에 스위치 칩 5개를 넣을 수 있는 슬롯이 있다.


8. 기타[편집]




몇몇 설정을 파는 팬들은 이러한 현상을 티어스 오브 더 킹덤의 최종 보스인 가논돌프와 연관짓기도 한다. 가논돌프는 전작에 언급된 1만년 전 대전쟁보다 더 이전인 초대 하이랄의 시대에 라울에 의해 봉인됐고 그 후에 활동한 가논은 원념인 재앙 가논이었다. 시커족들은 가논돌프의 존재를 모르고 오로지 재앙 가논의 존재만 알았기 때문에 오로지 재앙 가논에 포인트를 맞춰 재앙 가논이 처치된 뒤 시커족의 유산들은 활동을 정지하고 시커족이 알지 못한 가논돌프 본체의 활동엔 대응되지 못한 것이라 추측한다.
이후 디렉터 후지바야시 히데마로는 가디언, 신수 등의 고대 시커족 유물들[38]은 재앙 가논 토벌 이후에 갑자기 사라졌다고 밝혔다.# 덧붙여 하이랄 대륙의 모든 이들 역시 이를 목격했지만 하이랄이란 곳이 원래 특이한 일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아무도 이를 신경쓰거나 깊게 파고들지 않았다고 한다. 사람들은 역할을 다했으니 사라졌다거나 고대 시커족의 기술이니 그랬을 거라고 여기고 있으며 사라진 원리나 매커니즘은 아무도 모른다고 한다.[39] 즉 프루아패드나 조망대, 워프 마커 등은 프루아와 로베리를 포함한 현대 시커족이 겨우 남아있는 가디언의 잔해나 고대의 칼날 정도를 토대로 처음부터 새로 만들어냈다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만년 전 처럼 기술이 통째로 소실될 뻔 한 것인데, 이 정도라도 현대에서 재현해 낸 것이 다행인 것. 만약 시커족 기술이 통째로 소실됐다면, 링크는 맵과 워프, 망원경과 사진 등의 편의 기능 없이 힘들게 하이랄을 모험해야 했을 것이다.

















DLC가 없다는 발표에 팬덤은 크게 동요했는데, 대부분 팬들은 전작처럼 마스터 모드가 추가될 것을 예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블록 골렘같은 적은 대놓고 아직 추가되지 않은 상위 개체를 암시하고 있었으며[48], 하늘섬 덕분에 신규 지역을 추가하기 굉장히 수월해졌기에 당연히 이를 활용할 것으로 추측되었다. 일본 쪽 인터뷰에서는 중의적 의미로 해석할 여지[49]를 남겼었지만, 이후 영국 매체의 인터뷰를 통해 DLC 계획이 없음을 재차 언급했다.[50]

8.1. 외부 링크[편집]



9. 둘러보기[편집]





[1] 최하 540p[2] 최하 729p[3] 경미한 폭력성(생명체에 대한 공격 표현) #[4] 링크는 물에 젖을 시 몸에서 물이 떨어지는 효과가 생기며, 걸어갈 때마다 찰박거리는 소리가 난다. 이 젖음 효과는 20초 정도 지속된다.[5] 물에 젖을 시 대미지 2배[6] 참고로 얼음 속성으로도 방염/내서 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지만, 링크가 대미지를 받고 그자리에서 얼어버리기 때문에 유용한 방법은 아니다.[7] 사실 물 속성은 전작에서도 존재 자체는 있었지만 메인 속성까지는 아니였는데, 물 열매의 추가로 본작에서 메인 속성으로 부상했다. 전작에서는 비, 호수, 츄츄젤리 등으로 물 속성을 발동 시킬 수 있었다.[8] 윤돌의 광석 개발 사업으로 시장에 광석이 대량으로 풀려 가격이 내려갔다는 설정이다.[9] 헤브라 지방에 있있던 눈덩이 볼링의 경우 폰드가 살던 집은 허물어져 있고, 집 주변에 엘크 볼링핀이 눈 속에 파묻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눈덩이를 굴렸던 경사로 끝에는 골렘들과 타반타엘크 1마리가 있다. 폰드 자체는 삭제되지 않았고 헤브라 지방 근처에서 말을 타고 다니는 걸 볼 수 있다.[10] 전작에서 총 소모 루피가 11600 루피였고, 개방과정에서 NPC로부터 공물로 500루피를 조달받을 수 있으니 실제로는 11,100루피가 필요했다. 반면에 이번 작에서는 대요정 해금 과정에서 자연히 클리어하는 악단 연주 챌린지로 총 400루피를 조달할 수 있고, 방어구 하나를 풀 강화하는데 드는 루피가 760루피이니, 첫 방어구 풀강화를 위해 실제 직접 조달할 돈은 360루피로 매우 저렴해졌으며, 이후에도 방어구 15개 - 즉 풀세트 방어구를 5세트까지는 마련해도 전작보다는 덜 든다.[11] 리모컨 폭탄이 사라졌기 때문에 사실상 윈드봄이라는 전제 자체가 이루어질 수 없다.[12] 휘파람을 부는 상태에서 대시를 하거나, 대시 도중 휘파람을 불면 강제로 이전 동작이 취소된다. 심지어 달리기 버튼을 연타하면 누른 상태를 유지할 때보다 스태미나가 더 빠르게 소모되어 이중으로 막혔다.[13] 클리핑을 위해서는 공중에서 방패 점프를 하는 도중 방패를 해제해야 하는데, 본작에서 방패 점프를 할 때 방패를 해제할 수 없게 되었다.[14] 물건을 든 상태에서 점프하는 도중 들고 있던 물건을 내려놓지 않기 때문에 BLSS을 전개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15] 1.0.0 버전에서는 가능했으나, 1.1.0 버전에서 막혔다.[16] 방패를 장착한 상태에서 적을 밟으려고 해도 적과 상호작용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해버린다.[17] 맥스 아이템 중에서 맥스소라와 전작에서 거의 쓸어담을 수 있어 유저들의 회복을 책임지던 맥스두리안은 아예 삭제되었다.[18] 덕분에 전작에서 대요정의 샘 근처에는 각종 소재와 활력당근, 요정 등이 있었으나 본작에서는 대요정 근처에 별다른 소재가 없다. 그나마 활력당근은 사토리의 산의 벚꽃나무 아래에 여러 개가 존재한다.[19] 맥스 소재를 이용하여 손에 넣은 노란색 추가 하트는 독기에 노출될 경우 추가 숫자에 관계없이 전부 증발한다.[20] 이에 대해서는 닿기만 해도 자동으로 주워지던 것에 비해 불편해졌다는 의견과, 굳이 하나하나 닿지 않아도 다른 아이템처럼 근처에만 가도 A버튼 매싱으로 주울 수 있게 되었기에 편해졌다는 의견으로 나뉜다.[21] 둔기나 창으로 나무, 보물상자 등을 때릴 경우 나오는 이펙트.[22] 대신 파워라는 말 스탯이 생긴 본작에선 에포나가 파워가 아예 없는 상태로 나오는데다 마신을 통한 업그레이드도 불가능해서 실용적 가치는 크게 떨어졌다.[23] 젤다의 집에 걸려있는 영걸들의 단체사진은 DLC데이터임에도 연동되는 것을 보면 일반 모드와 마스터 모드의 마굿간 데이터 모두를 동시에 적용할 수 없어 둘 중 일반 모드의 데이터로 취사선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24] 이 내역은 블러디 문 이벤트가 발생하면 리셋된다.[25] 전작 이후로 루쥬가 링크를 신뢰하게 되어 여장 없이도 출입할 수 있다.[26] 직접적으로 제작에 참여한 전작의 외전인 젤다무쌍 대재앙의 시대의 시스템을 따라한 것으로 보인다.[27] 1위는 2023년 3월 말 결산 기준 2,981만장을 판매한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이다.[28] 대한민국의 경우 아트북은 미번역 상태로 발매된다.[29] 모서리는 라운딩 처리되어 있으며, 동봉된 자석 마운트를 원하는 곳에 부착하여 스틸 포스터를 고정할 수 있다. #[30] 참고로 소프트 미포함 버전은 닌텐도 온라인 스토어 한정으로 판매하였다.[31]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이후에 발매된 꿈꾸는 섬 아미보도 지원한다.[32] 패러세일 원단은 하테노 마을의 염색샵에서 교체할 수 있다.[33] 일정확률로 고기를 엄청많이 드롭하기도 하며 다른 아미보가 주로 일반 짐승고기만 드롭하는것과 달리 상급, 특급 짐승고기도 많이 드롭한다.[34] 때문에 팬들은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의 DLC의 완성도가 본편에 비해 낮았던 원인을 이러한 이유로 꼽는다.[35] 하테노 마을의 학교에서 진행할 수 있는 퀘스트에선 대재앙과 이를 토벌하러 나섰던 영걸에 관한 사건의 시놉시스를 설명한다. 이 외에도 뇌수산에 새로 생긴 미파 공원과 신수 바 메도가 있던 곳의 지명이 '메도의 횃대' 가 되어 등장한다. 특히 미파 공원은 전작에서 라이넬이 살던 사실을 본작에서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아이템 설명에서는 본작에서 현자들이 들고 나오는 무기는 전작의 설명과 동일하기에 영걸에 대한 설명을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영걸들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36] 역시 카메라를 제외한 리모컨 폭탄, 타임 록, 마그넷 캐치, 아이스 메이커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37] 링크가 전작에서 잠에서 깨어났던 회생의 사당도 형태 자체는 남아 있지만 시커족의 시설이 사라져 있다.[38] 시커 스톤, 시커 타워, 시련의 사당, 마스터바이크 제로, 시커족의 푸른 불꽃 등.[39] 팬들은 시커 도사들이 극복의 증표를 링크에게 주고 소멸한 것과 비슷한 원리로 추측하고 있다. 게임 외적으로 보자면 같은 시대와 지역에서 기존 컨셉의 오브젝트가 갑자기 사라진 것이 설정 오류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한 발언에 가깝다.[40] 마찬가지로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개발 당시 디렉터였던 후지바야시 히데마로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을 플레이하고 있었고, 이는 젤다의 전설 팀 전체에 '오픈 월드'가 무엇인지에 대한 영감을 불러일으켰다고 한다.[41] 링크/아시타카의 오른팔이나 재앙신의 촉수를 연상시키는 검붉은 기운 등.[42] 라퓨타의 비행석, 조나우의 조나니움.[43] 부제의 일부인 'tear'가 찢어짐, 균열이라는 뜻 역시 있어 지상과 하늘로 갈라진 하이랄을 빗댄 중의적인 제목이란 해석도 있었으나, 유로게이머에서 닌텐도에 직접 질문한 결과 '눈물'이라는 답을 받았다.# 균열의 의미로 쓰는 경우 대부분 '테어'로 발음하는 경향이 더 많다.[44] 원산지를 기준으로 가격을 책정했을 테니 한국 가격은 엔저임을 감안해 동결된 것으로 보이고, 북미 가격만 이례적으로 큰 폭으로 널뛰기한 셈이다.[45] 마야우시유의 사당이 해당 케이스로 첫 글자인 '마'에서 'ㅁ' 부분이 반토막 난 상태로 표시된다.[46] 붉은 달이라는 이벤트 자체가 몬스터 처치 등으로 필드의 내역들이 계속 저장되면서 데이터가 늘어나게 되는데 이로 인한 과부하를 막고 저장 데이터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오브젝트들을 리셋시키는 장치다.[47] 대표적으로 스카이워드 소드에서 구상하였으나 기기 성능의 한계로 구현하지 못했던 심리스 낙하를 본작에서 구현하였다고 밝혔다.[48] 일반 골렘은 일반-중등-상등-특등으로 구분된 반면 블록 골렘은 상등까지만 존재하며, 드랍 아이템인 코어는 코어 블록의 '눈'이 등급에 따라 하나씩 추가되는 형태로 특등이 나온다면 딱 블록 크기에 맞게 4개 눈이 될 것이었다.[49] 해당 발언의 원문은 "今回は追加コンテンツの発売予定はないのですが、"로, 여기서 이번엔이란 '본 작품에는'이라는 의미로도, '현재로써는'이라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는 중의적 표현이다.[50] 개발자들은 티어스 오브 더 킹덤의 세계가 앞으로도 계속 플레이어들에게 놀라움과 즐거움을 선사하는 것이 궁극적인 희망이지만, 이 시점부터는 새로운 버전의 하이랄로 넘어가는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합니다. 아오누마는 "티어스 오브 더 킹덤을 만들 때 개발 단계에서 생각했던 모든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많은 플레이어가 이미 본편을 클리어했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이번에는 DLC를 만들지 않습니다. 개발팀은 여러분이 이 거대한 하이랄 세계를 계속 즐겨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51] 전용 마갤이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닌텐도 마이너 갤러리젤다의 전설 갤러리 쪽이 관련 글리젠이 더 활발하다.[52] 아이템, 무기 등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영어로 검색하면 나온다.[53]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지만 티어스 오브 더 킹덤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54] 티어스 오브 더 킹덤에 나오는 소재가 몇 등급인지 알 수 있다. 영어지만 사진이 있어 알아보기 쉽다.